로컬유심 어떤게 좋을까? 데이터로밍보다 저렴하게 휴대인터넷을 이용하는 현지통신사 유심이용.
말레이시아는 한국보다 훨씬 오래 전 부터 선불 유심을 판매 및 사용해왔습니다. 또한 모바일통신사는 십여개에 이릅니다.
이 중 코타키나발루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유심들을 추려서 설명 드립니다.
말레이시아는 한국보다 통신요금이 낮은데 비해서, 한국보다 통신요금이 저렴한 만큼 데이터에 대한 용량제한 , 속도제한, 핫스팟테더링제한 등의 제약조건들이 따릅니다. 그리고 아직 5G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은 지극히 제한적이며, 4G또한 위치에 따라서 통신이 제한적인 곳이 많습니다.
한 때는 여행자들을 겨냥한 일주일 플랜을 판매했을 정도로 영업이나 마케팅이 적극적이었습니다.
코로나펜데믹 이후 코타키나발루는 아직 많은 외국인 여행객이 오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아직 여행자들을 위한 단기 플랜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유심 구매의 경우 : 본인 여권이 반드시 필요하며 , 판매처마다 기본유심칩에 대한 요금+충전요금 및 요금제 등으로 결제하는 비용이 각각 다릅니다. 그리고 야간에 구매하는 경우 개통시점의 여부가 현재인지 다음날오전인지 반드시 확인 하셔야 합니다. 이점 참고하세요.
디지(digi)
디지는 가성비로 알아주는 통신사입니다. 또한 유심비용을 따로 내지 않아도 됩니다.
주요 판매처 : 센터포인트, 와리산스퀘어,가야스트릿,이마고, 수리아사바,등 상가밀집지역.
핫링크 맥시스(hotlink Maxis)
핫링크 맥시스 통신사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유명한 회사이며, 통신요금이 비교적 높은 회사입니다.
하지만 도심을 제외한 외곽지역(투어지역)등에서는 속도를 보장할 수 없는 점이 코타키나발루의 특징입니다. ^^;;
주요 판매처 : 센터포인트, 와리산스퀘어,가야스트릿,이마고, 수리아사바,등 상가밀집지역.
셀콤 XPAX (Celcom Xpax) 셀콤은 사바지역에서 커버리지(통신가능지역)가 좋은 회사로 유명합니다.
키나발루산 산악가이드나 툰구압둘라만해양국립공원에 일하는 해양스포츠 없자들의 통신회사가 주로 셀콤입니다.
다만 그 속도나 용량면에서는 각각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판매처 : 센터포인트, 와리산스퀘어,가야스트릿,이마고, 수리아사바,등 상가밀집지역.
튠톡(Tune Talk)
에어아시아의 자회사로 시작한 튠톡은 여행자들을 위한 플랜과 마케팅에 적극적입니다.
또한 코타키나발루 공항에 판매점이 있어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주요 판매처 : 공항, 센터포인트, 와리산스퀘어,가야스트릿,이마고, 수리아사바,등 상가밀집지역.
유 모바일(U mobile)
또한 코타키나발루 공항에 판매점이 있어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주요 판매처 : 공항, 센터포인트, 와리산스퀘어,가야스트릿,이마고, 수리아사바,등 상가밀집지역.